상품명 | 열두 달 세시풍속과 절기 음식 시인이 들려주는 우리나라의 절기 문화와 시식 |
---|---|
소비자가 | |
판매가 | 15,300원 |
모델 | 아카데미북 |
자체상품코드 | 1039127 |
국내·해외배송 | 국내배송 |
배송방법 | 택배 |
배송비 | 2,500원 (2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
SNS 상품홍보 | ![]() ![]() |
---|
![]() |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명 | 상품수 | 가격 |
---|---|---|
열두 달 세시풍속과 절기 음식 시인이 들려주는 우리나라의 절기 문화와 시식 |
![]() ![]() |
15300 ( |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시인이 들려주는, 우리나라의 절기 문화와 시식(時食) 이야기 ‘시식(時食)’의 사전적 의미는 ‘그 계절에 특별히 있는 음식’ 또는 ‘그 시절에 알맞은 음식’이고, ‘절식(節食)’은 ‘명절에 따로 차려서 먹는 음식’이다. 즉 제철과 명절에 먹는 음식으로, ‘시절 음식’이라 표현할 수 있다. 선조들은 시절 음식을 ‘식보(食補)’로 인식하여 계절의 변화에 따르는 생리적 변화를 조절하여 건강을 지키는 방편이기도 했다. 자연의 질서를 따라 순응하며 살아 내는 지혜가 명절과 시식에 담겨 있다. 우리 조상들은 명절마다 먹는 음식이 다르고, 계절이 바뀔 때마다 계절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음식을 만들어 민속적인 독특한 행사로 지켜 왔다. ‘절식(節食)’과 ‘시식(時食)’의 세시풍속(歲時風俗)은 인간이 일 년을 살아가면서 일정한 시기에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연중행사를 중심으로 형성된 농경문화의 산물이다. 옛사람들의 시절 풍류를 헤아리며 현대인의 메마른 삶을 보듬다 “사랑은 눈으로 들고, 맛은 입으로 든다.”라는 말이 있다. 우리 선조들은 철따라 변하는 농사일도 인정으로 함께했고, 각 계절이 선사하는 제철 음식을 먹으며 자연의 기(氣)를 받아들이는 것을 즐거움으로 알았다. 먹을 것은 늘 부족하고, 고단한 나날이었지만 맛과 멋, 흥을 아는 소박한 삶을 살았다. 바쁜 현대생활에서 세시풍속은 한낱 고전시가의 노랫말에서나 접할 수 있을 정도로 쇠락했지만, 시식(時食)과 절식(節食) 문화는 선조들의 삶의 뿌리와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소중한 유산이다. 그것을 기억하고 재현해 보는 것은 우리 민족의 정체성과 자존심을 일깨우고, 고유의 창조성과 근면성을 확인하는 일이다. 또한 존재 자체만으로도 힘이 되는 가족이 함께하는 명절은 함께 먹고, 나누고, 즐기며 조상과 가족의 연대를 확인하는 기회이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전통과 문화를 잊지 말아야 할 이유이다.
〈시작하는 글 - 절기(節氣)와 시식(時食)〉
우리나라 자연환경의 특성 / 전통 명절과 절기 풍속 / 시식(時食)과 절식(節食)
〈1월 해솟음달〉
ㆍ음력 1월
음력 1월의 절기와 풍속 / 음력 1월의 절식
ㆍ설날
설 세시풍속 / 설 절기 음식
ㆍ입춘
입춘 세시풍속 / 입춘 절기 음식
ㆍ정월대보름
정월대보름 세시풍속 / 정월대보름 절기 음식 / 정월대보름 금기 음식
〈2월 시샘달〉
ㆍ음력 2월
음력 2월의 절기와 풍속
ㆍ중화절
중화절 세시풍속 / 중화절 절기 음식
〈3월 물오름달〉
ㆍ음력 3월
음력 3월의 절기와 풍속 / 음력 3월의 절식
ㆍ삼짇날
삼짇날 세시풍속 / 삼짇날 절기 음식
〈4월 잎새달〉
ㆍ음력 4월
음력 4월의 절기와 풍속 / 음력 4월의 절식
ㆍ초파일
초파일 세시풍속 / 초파일 절기 음식
ㆍ보릿고개
〈5월 푸른달〉
ㆍ음력 5월
음력 5월의 절기와 풍속 / 음력 5월의 절식
ㆍ단오
단오 세시풍속 / 단오 절기 음식
〈6월 누리달〉
ㆍ음력 6월
음력 6월의 절기와 풍속
ㆍ유두
유두 세시풍속 / 유두 절기 음식
ㆍ삼복
삼복 절기 풍속 / 삼복 절기 음식
〈7월 견우직녀달〉
ㆍ음력 7월
음력 7월의 절기와 풍속 / 음력 7월의 절식
ㆍ칠석
칠석 세시풍속 / 칠석 절기 음식
ㆍ백중
백중 세시풍속 / 백중 절기 음식
〈8월 타오름달〉
ㆍ음력 8월
음력 8월의 절기와 풍속
ㆍ추석
추석 세시풍속 / 추석 절기 음식
〈9월 열매달〉
ㆍ음력 9월
음력 9월의 절기와 풍속
ㆍ중양절
중양절 세시풍속 / 중양절 절기 음식
〈10월 하늘연달〉
ㆍ상달(上月)
음력 10월(상달)의 절기와 세시풍속 / 음력 10월의 절기 음식
〈11월 미틈달〉
ㆍ음력 11월
음력 11월의 절기와 풍속 / 음력 11월의 절식
ㆍ동지
동지 세시풍속 / 동지 절기 음식
〈12월 매듭달〉
ㆍ음력 12월
음력 12월의 절기와 풍속 / 음력 12월의 절식
ㆍ섣달그믐
섣달그믐의 풍속 / 섣달그믐 절기 음식
〈부록 시절 음식〉
ㆍ전통 떡
떡에 관한 속담 / 떡의 축원성 / 절기에 따른 떡과 음료 / 조리법에 따른 떡의 종류 / 상품화된 지역 특산 떡
ㆍ전통차
차 / 화채
ㆍ전통술
민속주 종류 / 술과 전통의식 / 술의 풍류 / 선조들의 음주 문화 / 술에 관한 에피소드
ㆍ시어(時魚)
시어(時魚)의 특징과 관련 속담
현대인의 일상에 생동감을 더해 주고, 요리하는 이들에게는 영감을 불어넣는 계절 감각 교과서!
이 책은 시인이자 음식 칼럼니스트이며 김치를 비롯한 우리 전통 음식 분야에서 후학을 양성해 온 저자가 우리의 절기 풍속을 정리한 책이다. 「농가월령뭏비롯한 전통 시가, 민요, 옛 문인과 현대 문인의 글을 두루 인용하여 ‘시식(時食)’에 관해 풍성한 이야기를 풀어냈다. 한 시대를 정성껏 살아 낸 시인이 고찰한 전통 세시풍속 이야기를 듣다 보면, 시대가 변해도 해마다 되풀이되는 자연의 법칙이 얼마나 준엄한지, 그리고 서로 화합하며 정을 나누어 온 우리 민족의 공동체 문화가 얼마나 풍요롭고 뿌리 깊은지 알게 된다. 도시화와 더불어 개인의 고립이 심화되어 가는 이 시대에, 자연에 순응하며 풍류를 즐기며 서로의 가난한 삶은 보듬어 주던 선조들의 전통문화를 통해 세상을 따뜻하게 사는 법을 배울 수 있지 않을까.